< 구성원 | ESG경영 | SK m&service
  • SK엠앤서비스는 구성원들이 주도적으로 본연의 업무에 집중하여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통해 유연하고 스마트한 업무 몰입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또한, 구성원들이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는 회사에서의 기회와 경험이 더욱 빛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모성지원 제도, 건강 및 정서 케어, 생활 안정, Refresh 프로그램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행복 추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구성원들이 누구나 다니고 싶고, 실력을 쑥쑥 키우며, 하루하루가 즐거운 회사’를 만들기 위해 노력 하고 있습니다.

    일과 삶의 균형

    • 근무 제도 및 공간

    • 구성원 및 가족 Care 제도

    구성원 육성

    SK엠앤서비스는 복지 리딩 컴퍼니로서 건강, 쇼핑, 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고객의 삶을 업그레이드하는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차별화된 ICT 및 AI 기술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혁신을 통해 고객의 행복을 위한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구성원들이 최고의 역량을 발휘하여 직무 전문가와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각 구성원의 특성과 직무를 고려한 육성체계를 수립, 시행하고 있습니다. 구성원이 주도하는 맞춤형 학습과 상호 학습을 통한 성장 기회도 제공합니다.

    이로써 구성원의 성장과 행복이 회사의 성과와 성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것입니다.

    • 육성 방향

      SK엠앤서비스는 구성원 한 명 한 명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조직 간 상시 학습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직무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학습문화를 조성합니다.

      • 상시 학습 문화 조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역량을 강화합니다.
      • 구성원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상호 학습을 활성화합니다.
      •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해 현업 주도로 외부의 기술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학습을 제공합니다.
    • 육성 체계

      SK엠앤서비스는 모든 구성원이 최고 수준의 전문가이자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직무별 학습 체계와 단계별 리더십 육성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원하는 곳에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 플랫폼과 구성원 간 지식을 공유하는 상호학습 제도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합니다.

      리더십 교육 등을 통해 리더가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구성원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바탕으로 Lead, Help, Coach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직무 역량은 기술 변화를 경험하고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구성원 주도 맞춤 학습을 통해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합니다.

    • 육성 현황

      환경데이터 현황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교육투자 투자 비용(원) 760,315,001 666,398,424 684,393,251
      인당 교육 비용(원) 506,202 488,562 580,486
      교육 시간 온라인 교육 시간(시간) 9,323 9,331 10,866
      오프라인 교육 시간(시간) 15,511 13,365 16,470

    구성원 일반 현황

    • 고용 현황

      구성원 일반 현황
      구분 단위 2022년 2023년 2024년
      인원현황 전체인력 1,621 1,420 1,212
      일반직군 593 589 557
      상담직군1) 1,,028 831 655
      정규직 고용 1,502 1,364 1,179
      비정규직 고용 119 56 33
      여성 고용 비율 전체 여성인력 1,050 897 759
      정규직 959 852 732
      비정규직 91 45 27
      여성인력 비율 % 64.8 63.2 62.6
      장애인 고용 전체 26 20 23
      • 1) 상담직군: 컨택센터 고객 서비스 상담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

    신규채용/퇴직/육아휴직 복귀율

    ※ 컨택센터 업(業)의 특성 상 높은 채용/퇴직률을 보이므로, 상담직군과 일반직군을 구분하여 표기함

  • 신규채용/퇴직/육아휴직 복귀율 일반직군 현황
    구분 단위 2022년 2023년 2024년
    신규채용 전체 64 29 9
    정규직 48 25 7
    비정규직 16 4 2
    성별 여성 35 20 5
    남성 29 9 4
    여성비율 % 54.7 69.0 55.6
    퇴직 총 퇴직자 수 34 41 36
    정규직 30 35 30
    비정규직 4 6 6
    총 퇴직률 % 5.4 6.6 6.0
    월 평균 퇴직률 % 0.5 0.6 0.5
    자발적 퇴직률 % 5.2 4.4 4.3
    육아휴직 복귀율 % 100.0 100.0 100.0
  • 신규채용/퇴직/육아휴직 복귀율 상담직군 현황
    구분 단위 2022년 2023년 2024년
    신규채용 전체 1,263 844 488
    정규직 914 621 398
    비정규직 349 223 90
    성별 여성 872 611 364
    남성 391 233 124
    여성비율 % 69.0 72.4 74.6
    퇴직 총 퇴직자 수 1,291 1,009 673
    정규직 933 757 561
    비정규직 358 252 112
    총 퇴직률 % 56.3 53.9 51.0
    월 평균 퇴직률 % 10.4 9.6 7.7
    자발적 퇴직률 % 86.3 74.4 68.5
    육아휴직 복귀율 % 76.2 79.2 83.3